초 로봇 생명체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 로봇 생명체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은 오토봇과 디셉티콘이 미니콘이라 불리는 작은 변신 로봇 종족을 두고 벌이는 전쟁을 다룬 애니메이션이다. 미니콘은 다른 트랜스포머와 합체하여 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들을 둘러싼 오토봇과 디셉티콘의 전투가 주요 내용이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오토봇의 옵티머스 프라임, 디셉티콘의 메가트론, 그리고 유니크론과 같은 제3 세력이 등장한다. 이 애니메이션은 2002년 미국에서 먼저 방영되었으며, 이후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다. 관련 완구 판매와 비디오 게임 출시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대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사생활 (드라마)
사생활은 사기꾼들이 국가의 사생활에 의도치 않게 개입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2020년 JTBC 드라마로, 서현, 고경표, 김효진, 김영민 등이 출연하여 사기꾼들이 자신들의 기술로 대기업과 사기 대결을 펼치며 사회 부조리와 권력 문제를 드러낸다. - 2002년에 시작한 미국 TV 프로그램 - 베이비 루니 툰
《베이비 루니 툰》은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에서 루니 툰 캐릭터들의 아기 시절을 다룬 TV 시리즈로, 벅스 버니, 대피 덕, 트위티 등의 아기 모습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아이들의 일상생활과 교육적인 요소를 담고 있다. - 2002년에 시작한 미국 TV 프로그램 - 아빠는 연애코치
《아빠는 연애코치》는 평범한 아버지 폴 헤네시가 세 딸을 키우며 겪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린 미국의 시트콤으로, 아내의 직장 복귀 후 딸들의 양육을 담당하게 된 폴이 딸들의 데이트 상대를 감시하거나 규칙을 만들며 가족 간의 사랑과 이해를 확인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 아크타스 - 트랜스포머 슈퍼링크
트랜스포머 슈퍼링크는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의 후속작으로, 알파 Q와 메가트론에 맞서 오토봇이 지구와 사이버트론을 지키기 위해 '슈퍼링크' 합체 시스템과 인간과의 협력을 통해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2004년 일본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아크타스 - 걸즈 & 판처
액터스가 제작하고 미즈시마 츠토무가 감독한 《걸즈 & 판처》는 과거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전차도에 다시 도전하는 니시즈미 미호와 오아라이 여자 학원 친구들의 전국 대회 우승 도전기를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여성의 교양으로 여겨지는 전차도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다양한 전차 등장, 그리고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특징을 지닌다.
초 로봇 생명체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초 로봇 생명체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 (超ロボット生命体トランスフォーマー マイクロン伝説) |
장르 | 모험 메카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
감독 | 우에다 히데히토 |
각본 | 모토히라 료 |
음악 | 마쓰오 하야토 |
제작사 | 액터스 |
라이선스 | 북미: 해즈브로, 해즈브로 스튜디오/올스파크 (2014–2019), 엔터테인먼트 원 (2019–2023), 해즈브로 엔터테인먼트 (2023–현재) 유럽: 엔터테인먼트 라이츠 (2002-2009) |
방송사 | 일본: TXN (TV 도쿄) 미국: 카툰 네트워크 (투나미) 호주: 네트워크 텐 영국: 스카이 원, 스카이 원 믹스 캐나다: YTV 인도: 카툰 네트워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M-Net (K-TV) 필리핀: 카툰 네트워크, GMA 네트워크, TV5 |
방영 기간 | 2002년 8월 23일 ~ 2003년 12월 26일 (미국) 2003년 1월 10일 ~ 2003년 12월 26일 (일본) 2004년 12월 20일 ~ 2005년 5월 16일 (대한민국) |
회차 수 | 52화 |
에피소드 목록 | 트랜스포머: 아마다 에피소드 목록 |
스태프 | |
원안 | 이시카와 히로토 스티브 드래커 |
시리즈 구성 | 모토히라 료 |
캐릭터 디자인 | 오모테지마 지로 |
메카닉 디자인 | 후쿠시마 히데키 오구라 신야 오가와 히로시 무라타 마모루 야마다 타카히로 (트랜스포머 & 메카 디자인) |
제작 | |
제작 | TV 도쿄 NAS |
2. 등장인물
성우는 일본어판/영어판.
=== 오토봇 (사이버트론) ===
오오카와 토오루/게리 초크가 목소리를 연기한 옵티머스 프라임 (컴보이)은 트레일러 트럭의 캡 부분으로 변신하는 오토봇의 총사령관이다. 마이크론을 싸움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싸우는 용감한 리더로, 파트너 마이크론 '''프라임'''과의 연대를 통해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제39화에서 지구를 지키다 순직했지만, 제42화에서 마이크론의 힘으로 부활한다. 유니크론과의 최종 결전에서 '''파이널 배틀 컬러'''로 변화하기도 했다. 트레일러 후부와 합체하여 '''컴보이 슈퍼 모드'''가 되며, 제트파이어, 울트라 매그너스와 합체하여 더욱 강력한 형태로 변신할 수 있다.
사와키 이쿠야/브라이언 도브슨이 목소리를 연기한 레드 얼럿 (래칫)은 SUV형 구급차(4WD차)로 변신하는 오토봇의 부관이자 의무관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훅'''과의 에볼루션을 통해 강력한 공격 능력을 얻는다. 제43화에서 스커지의 공격으로 빈사 상태가 되지만, 마이크론의 힘으로 '''래칫 S(슈퍼 모드)'''로 진화한다.
오카노 코스케/브렌트 밀러가 목소리를 연기한 핫 샷 (핫 로드)은 노란색 스포츠카로 변신하는 젊고 혈기왕성한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졸트'''와의 에볼루션을 통해 "자이언트 바주카"를 사용하며, 비클 모드 시 합체하여 하늘을 나는 것도 가능하다. 제43화에서 '''핫 로드 S(슈퍼 모드)'''로 진화한다.
호우키 카츠히사/데일 윌슨이 목소리를 연기한 스모크스크린 (그래플)은 크레인차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리프트'''와의 에볼루션으로 장거리 사정의 "롱 런처"를 사용할 수 있다. 제34화에서 굴착기로 변신하는 '''그래플 S(슈퍼 모드) / 호이스트'''로 부활한다.
후지와라 케이지/워드 페리가 목소리를 연기한 스캐빈저 (디바스터)는 불도저로 변신하는 용병 출신 오토봇 전사이다. 과거 오토봇 사관학교 교관이었으며, 파트너 마이크론 '''다트'''와의 에볼루션으로 "도저 캐논"을 발사한다.
치바 잇신/브라이언 드라몬드가 목소리를 연기한 블러 (실버볼트)는 프로토타입카 (레이싱카)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터보'''와의 에볼루션을 통해 "플라이트 모드"로 변형하여 비행 가능하다.
치바 신보/스콧 맥닐이 목소리를 연기한 제트파이어 (스카이파이어)는 우주 왕복선으로 변신하는 오토봇 부사령관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소나'''와 함께 행동한다.
코부시 노부유키/사무엘 빈센트가 목소리를 연기한 사이드스와이프 (스테퍼)는 스포츠카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차'''와의 에볼루션을 통해 고속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오버로드 (울트라 매그너스)는 견인차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로, 옵티머스 프라임의 파워업 유닛이다. 코어 마이크론 '''마그너스'''와 함께 작동한다.
사이버호크 (레이저비크)는 래칫이 개발한 새 모양의 서포트 메카이다.
=== 디셉티콘 (데스트론) ===
메가트론은 디셉티콘(데스트론)의 파괴대제로, 전차로 변신한다. 마이크론의 힘을 이용해 우주 정복을 꿈꾸며, 달에 추락한 마이크론 우주선을 아지트로 삼고 있다. 야나다 키요유키 / 데이비드 케이가 성우를 맡았다. 힘을 숭상하는 군인이지만 감정 표현이 풍부하고 솔직하며, 부하인 스타스크림에게 엄격하지만 사실은 그가 자신을 뛰어넘기를 바라는 마음도 가지고 있었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바렐'''이며, 에볼루션을 통해 풀 버스트 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메가트론은 다른 시리즈의 메가트론과 구별하기 위해 '''아마다 메가트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타스크림은 디셉티콘(데스트론)의 항공참모로, 제트 전투기로 변신한다. 야마노이 진 / 마이클 도브슨이 성우를 맡았다. 야심만만하지만 긍지 높고 정정당당한 성격으로, 전사로서의 윤리에 어긋나는 비겁한 행위를 싫어한다. 가슴의 에너지포 발칸과 왼쪽 날개가 변형된 검 윙 블레이드를 사용한다. 한때 사이버트론으로 전향하기도 했으나, 결국 다시 디셉티콘으로 돌아왔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그리드'''이며, 에볼루션을 통해 널 광선 캐논이 출현한다. 스타스크림은 다른 시리즈의 스타스크림과 구별하기 위해 '''아마다 스타스크림'''으로 불리기도 한다.
아이언하이드는 미사일 탱크(대공 전차)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전사이다. 유사 코지 / 앨빈 샌더스가 성우를 맡았다. 메가트론에게 충성하며, 스스로 생각하기보다는 메가트론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손가락의 핑거 캐논, 어깨의 아이언 미사일 등 중화기에 특화된 화력을 가지고 있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서치'''이다.
샌드스톰은 공격 헬리콥터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전사이다. 치바 잇신 / 돈 브라운이 성우를 맡았다. 잔혹하고 공격적이며, 비겁한 짓도 서슴지 않는 전형적인 디셉티콘이다. "라리호"라는 특이한 웃음소리를 내며 공격한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캐논'''이며, 에볼루션을 통해 조종석 부분이 변화한다.
스러스트는 전투 VTOL(수직 이착륙기)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군사이다. 유사 코지 / 콜린 머독이 성우를 맡았다. 냉철한 전략가로, 투명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존댓말을 사용한다. 한때는 실질적인 2인자였으나, 유니크론에게 영합하여 디셉티콘을 배신한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선더'''이다.
쇼크웨이브는 "플리트톱", "플리트라이더", "플리트크래프트"의 3척으로 분리 가능한 거대 트랜스포머(전함)이다. 야마노이 진 / 더그 파커가 성우를 맡았다. 과거 사이버트론을 괴롭힌 경력이 있으며, "호완 제독"이라고도 불린다.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며, 메가트론과 합체하여 버닝 메가트론이 된다.
럼페이지는 스포츠카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전사이다. 지바 스스무 / 마이클 데인저필드가 성우를 맡았다. 과거 핫 샷의 동료였으나, 메가트론에게 구출된 후 디셉티콘에 가입했다.
=== 미니콘 (마이크론) ===
마이크론(Mini-Con)은 사이버트론 별에서 온 신종 트랜스포머로, 인간 어린이 정도의 작은 크기이다. 이들은 비클 모드로 변형 가능하며, 다른 트랜스포머와 합체(에볼루션)하여 그들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론 자체는 대체로 싸움을 싫어하는 온순한 성격을 지녔다.
아주 오래 전, 디셉티콘은 마이크론의 힘을 도구로 이용하려 했고, 오토봇은 마이크론의 의사를 존중하여 그들을 싸움에서 멀어지게 하려고 했다. 이로 인해 양측 간의 싸움이 벌어졌고, 결국 오토봇은 모든 마이크론을 사이버트론 별에서 탈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많은 마이크론을 태운 배가 도중에 공격받아 지구로 추락했고, 마이크론들은 마이크론 패널 형태로 잠들었다. 지구로 떨어진 마이크론 외에도 많은 수가 우주로 흩어졌으며, 훗날 오토봇과 함께 사이버트론 별로 귀환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래드 일행이 윌리 등을 깨우면서 본격적으로 마이크론들이 깨어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보내진 신호를 감지하고 오토봇과 디셉티콘 양 군이 지구로 오면서, 마이크론을 둘러싼 다툼이 다시 시작되었다. 마이크론 패널에서 깨어난 마이크론은 자신을 깨운 자를 부모처럼 따르기 때문에, 일부는 디셉티콘에 가담하여 적극적으로 싸우기도 한다.
마이크론의 정체는 유니크론이 만들어낸 트랜스포머이며, 그의 세포와 같다. 특히 스타 세이버(Star Saber), 코스모테크터(Skyboom Shield), 아스트로 블래스터(Requiem Blaster) 3개는 특별 제작되었으며, 잠든 유니크론을 깨우기 위한 힘을 지니고 있다. 유니크론은 양 군의 싸움을 부추기고, 최종적으로 양 군을 멸망시키기 위해 마이크론을 만들었다. 그러나 스러스트가 래드 일행을 이용하여 스타스크림을 아스트로 블래스터로 공격했을 때, 윌리가 무의식적으로 일으킨 힘에 의해 래드 일행은 마이크론이 자아를 깨닫기 전 시대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된다. 그곳에서 래드가 윌리에게 "우리가 기다리는 지구로 가는 거야"라고 말하자 윌리에게 자아가 싹트고, 다른 마이크론들도 자아를 가지게 되었다.
완구에서는 오토봇파와 디셉티콘파로 나뉘며, 각 3개 세트로 판매된다. 특별 색상의 익스 디멘션즈(Ex-Dimensions)도 존재한다.
=== 주요 미니콘 팀 ===
- 토미사카 아키라가 목소리 연기를 한 산악 자전거로 변형되는 윌리 / High Wire, 나카이 마사키가 목소리 연기를 한 스케이트보드로 변형되는 뱅크 / Grindor, 마에다 유키에가 목소리 연기를 한 주황색 스쿠터로 변형되는 아시 / Sureshock는 래드 일행의 파트너 마이크론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범블 / Perceptor가 된다.
- 마하 / Jetstorm(콩코드), 제터 / Runway(소닉 크루저), 샤틀러 / Sonar(우주 왕복선)는 에어 디펜스 미니콘 팀으로, 3대가 합체하여 스타 세이버 / Star Saber라는 강력한 검이 된다.
- 랜드 밀리터리 미니콘 팀은 봄 / Bonecrusher(자주포), 크랙 / Knock Out(곡사포), 샷 / Wreckage(장갑차)로 구성된 군용 차량들이다.
- 디스트럭션 미니콘 팀은 크래쉬 / Drillbit(드릴 전차), 더스터 / Dualor(대공 전차), 휠 / Buzzsaw(버킷 휠 굴착기)로 구성된 전투 차량들이다.
- 레이스 미니콘 팀은 스핀 / Downshift(프로토타입 카), 드리프트 / Dirt Boss(랠리카), 인디 / Mirage(인디카)로 구성된 레이스카들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코스모테크터 / Skyboom이라는 방패가 된다.
- 스페이스 미니콘 팀은 아폴로 / Skyblast(로켓), 무브 / Payload(로켓 수송차), 밀 / Astroscope(위성)로 구성된 우주 관련 차량들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아스트로 블래스터 / Requiem Blaster라는 강력한 총이 된다.
=== 제3 세력 ===
사이드웨이즈(더블페이스)는 오토바이로 변신하는 미스터리한 존재로, 유니크론의 에이전트이다. 처음에는 떠돌이로 사이버트론에 가입했지만, 핫 샷을 함정에 빠뜨려 스타 세이버를 강탈하고 데스트론에 가입했다. 이후 데스트론에서 활동하면서도 때로는 사이버트론을 돕고, 유니크론에게 상황을 보고했다. 신체 구조가 일반 트랜스포머와는 달리, 스노우 노이즈처럼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타 세이버로 양단되어도 죽지 않고, 컴퓨터 해킹이나 기계 조작 능력도 보였다. 최종 국면에서는 유니크론의 의지 세포가 되어 콘보이와 메가트론과 대치했으나, 결국 패배했다. 그의 본체는 마이크론 미러이며, 미러는 브라이트와 섀도우로 분리되어 각각 사이버트론 헤드와 데스트론 헤드가 된다.
유니크론은 행성 크기의 거대 트랜스포머로, 모든 생명체를 파괴하려는 존재이다. 모든 트랜스포머의 증오와 투쟁심을 활력원으로 삼고 있으며, 싸움을 격화시키기 위해 자신의 세포에서 마이크론들을 만들어냈다. 주요 무기는 발에서 발사하는 플래닛 스트라이크 미사일과 가슴에서 쏘는 파동포인 카오스 브링거이다. 일반적인 공격은 통하지 않는 견고한 장갑을 가지고 있지만, 목의 장갑은 주변에 비해 얇고 내부 공격에 약하다. 마지막에는 콘보이와 메가트론에 의해 저지되지만, 완전히 멸망하지 않고 메가트론을 삼켜 어딘가로 사라졌다.
네메시스 프라임(스커지)은 옵티머스 프라임과 유사한 외형을 가진 파괴적인 존재로, 검은 콘보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지성이 느껴지지 않는 흉폭한 야수와 같은 전사이며, 네 발로 걷는다. 콘보이와 같은 능력 외에 재생 능력과 암흑의 검 다크 세이버를 가지고 있다. 핫 샷, 래칫, 메가트론 등을 빈사 상태로 몰아넣을 정도로 강력하지만, 마그나 콘보이와 메가트론의 연계 공격으로 쓰러진다.
버그는 유니크론 체내 및 체표를 경비하는 다수의 마이크론으로, 소형 위성으로 변형한다. 하급 트랜스포머를 일격에 쓰러뜨릴 수 있는 공격력을 가졌지만, 방어력은 낮다.
2. 1. 오토봇 (사이버트론)
오오카와 토오루/게리 초크가 목소리를 연기한 옵티머스 프라임 (컴보이)은 트레일러 트럭의 캡 부분으로 변신하는 오토봇의 총사령관이다. 마이크론을 싸움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싸우는 용감한 리더로, 파트너 마이크론 '''프라임'''과의 연대를 통해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제39화에서 지구를 지키다 순직했지만, 제42화에서 마이크론의 힘으로 부활한다. 유니크론과의 최종 결전에서 '''파이널 배틀 컬러'''로 변화하기도 했다. 트레일러 후부와 합체하여 '''컴보이 슈퍼 모드'''가 되며, 제트파이어, 울트라 매그너스와 합체하여 더욱 강력한 형태로 변신할 수 있다.사와키 이쿠야/브라이언 도브슨이 목소리를 연기한 레드 얼럿 (래칫)은 SUV형 구급차(4WD차)로 변신하는 오토봇의 부관이자 의무관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훅'''과의 에볼루션을 통해 강력한 공격 능력을 얻는다. 제43화에서 스커지의 공격으로 빈사 상태가 되지만, 마이크론의 힘으로 '''래칫 S(슈퍼 모드)'''로 진화한다.
오카노 코스케/브렌트 밀러가 목소리를 연기한 핫 샷 (핫 로드)은 노란색 스포츠카로 변신하는 젊고 혈기왕성한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졸트'''와의 에볼루션을 통해 "자이언트 바주카"를 사용하며, 비클 모드 시 합체하여 하늘을 나는 것도 가능하다. 제43화에서 '''핫 로드 S(슈퍼 모드)'''로 진화한다.
호우키 카츠히사/데일 윌슨이 목소리를 연기한 스모크스크린 (그래플)은 크레인차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리프트'''와의 에볼루션으로 장거리 사정의 "롱 런처"를 사용할 수 있다. 제34화에서 굴착기로 변신하는 '''그래플 S(슈퍼 모드) / 호이스트'''로 부활한다.
후지와라 케이지/워드 페리가 목소리를 연기한 스캐빈저 (디바스터)는 불도저로 변신하는 용병 출신 오토봇 전사이다. 과거 오토봇 사관학교 교관이었으며, 파트너 마이크론 '''다트'''와의 에볼루션으로 "도저 캐논"을 발사한다.
치바 잇신/브라이언 드라몬드가 목소리를 연기한 블러 (실버볼트)는 프로토타입카 (레이싱카)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터보'''와의 에볼루션을 통해 "플라이트 모드"로 변형하여 비행 가능하다.
치바 신보/스콧 맥닐이 목소리를 연기한 제트파이어 (스카이파이어)는 우주 왕복선으로 변신하는 오토봇 부사령관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소나'''와 함께 행동한다.
코부시 노부유키/사무엘 빈센트가 목소리를 연기한 사이드스와이프 (스테퍼)는 스포츠카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이다. 파트너 마이크론 '''차'''와의 에볼루션을 통해 고속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오버로드 (울트라 매그너스)는 견인차로 변신하는 오토봇 전사로, 옵티머스 프라임의 파워업 유닛이다. 코어 마이크론 '''마그너스'''와 함께 작동한다.
사이버호크 (레이저비크)는 래칫이 개발한 새 모양의 서포트 메카이다.
2. 2. 디셉티콘 (데스트론)
메가트론은 디셉티콘(데스트론)의 파괴대제로, 전차로 변신한다. 마이크론의 힘을 이용해 우주 정복을 꿈꾸며, 달에 추락한 마이크론 우주선을 아지트로 삼고 있다. 야나다 키요유키 / 데이비드 케이가 성우를 맡았다. 힘을 숭상하는 군인이지만 감정 표현이 풍부하고 솔직하며, 부하인 스타스크림에게 엄격하지만 사실은 그가 자신을 뛰어넘기를 바라는 마음도 가지고 있었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바렐'''이며, 에볼루션을 통해 풀 버스트 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메가트론은 다른 시리즈의 메가트론과 구별하기 위해 '''아마다 메가트론'''으로 불리기도 한다.스타스크림은 디셉티콘(데스트론)의 항공참모로, 제트 전투기로 변신한다. 야마노이 진 / 마이클 도브슨이 성우를 맡았다. 야심만만하지만 긍지 높고 정정당당한 성격으로, 전사로서의 윤리에 어긋나는 비겁한 행위를 싫어한다. 가슴의 에너지포 발칸과 왼쪽 날개가 변형된 검 윙 블레이드를 사용한다. 한때 사이버트론으로 전향하기도 했으나, 결국 다시 디셉티콘으로 돌아왔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그리드'''이며, 에볼루션을 통해 널 광선 캐논이 출현한다. 스타스크림은 다른 시리즈의 스타스크림과 구별하기 위해 '''아마다 스타스크림'''으로 불리기도 한다.
아이언하이드는 미사일 탱크(대공 전차)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전사이다. 유사 코지 / 앨빈 샌더스가 성우를 맡았다. 메가트론에게 충성하며, 스스로 생각하기보다는 메가트론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손가락의 핑거 캐논, 어깨의 아이언 미사일 등 중화기에 특화된 화력을 가지고 있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서치'''이다.
샌드스톰은 공격 헬리콥터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전사이다. 치바 잇신 / 돈 브라운이 성우를 맡았다. 잔혹하고 공격적이며, 비겁한 짓도 서슴지 않는 전형적인 디셉티콘이다. "라리호"라는 특이한 웃음소리를 내며 공격한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캐논'''이며, 에볼루션을 통해 조종석 부분이 변화한다.
스러스트는 전투 VTOL(수직 이착륙기)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군사이다. 유사 코지 / 콜린 머독이 성우를 맡았다. 냉철한 전략가로, 투명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존댓말을 사용한다. 한때는 실질적인 2인자였으나, 유니크론에게 영합하여 디셉티콘을 배신한다. 파트너 마이크론은 '''선더'''이다.
쇼크웨이브는 "플리트톱", "플리트라이더", "플리트크래프트"의 3척으로 분리 가능한 거대 트랜스포머(전함)이다. 야마노이 진 / 더그 파커가 성우를 맡았다. 과거 사이버트론을 괴롭힌 경력이 있으며, "호완 제독"이라고도 불린다.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며, 메가트론과 합체하여 버닝 메가트론이 된다.
럼페이지는 스포츠카로 변신하는 디셉티콘(데스트론) 전사이다. 지바 스스무 / 마이클 데인저필드가 성우를 맡았다. 과거 핫 샷의 동료였으나, 메가트론에게 구출된 후 디셉티콘에 가입했다.
2. 3. 미니콘 (마이크론)
마이크론(Mini-Con)은 사이버트론 별에서 온 신종 트랜스포머로, 인간 어린이 정도의 작은 크기이다. 이들은 비클 모드로 변형 가능하며, 다른 트랜스포머와 합체(에볼루션)하여 그들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론 자체는 대체로 싸움을 싫어하는 온순한 성격을 지녔다.아주 오래 전, 디셉티콘은 마이크론의 힘을 도구로 이용하려 했고, 오토봇은 마이크론의 의사를 존중하여 그들을 싸움에서 멀어지게 하려고 했다. 이로 인해 양측 간의 싸움이 벌어졌고, 결국 오토봇은 모든 마이크론을 사이버트론 별에서 탈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많은 마이크론을 태운 배가 도중에 공격받아 지구로 추락했고, 마이크론들은 마이크론 패널 형태로 잠들었다. 지구로 떨어진 마이크론 외에도 많은 수가 우주로 흩어졌으며, 훗날 오토봇과 함께 사이버트론 별로 귀환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래드 일행이 윌리 등을 깨우면서 본격적으로 마이크론들이 깨어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보내진 신호를 감지하고 오토봇과 디셉티콘 양 군이 지구로 오면서, 마이크론을 둘러싼 다툼이 다시 시작되었다. 마이크론 패널에서 깨어난 마이크론은 자신을 깨운 자를 부모처럼 따르기 때문에, 일부는 디셉티콘에 가담하여 적극적으로 싸우기도 한다.
마이크론의 정체는 유니크론이 만들어낸 트랜스포머이며, 그의 세포와 같다. 특히 스타 세이버(Star Saber), 코스모테크터(Skyboom Shield), 아스트로 블래스터(Requiem Blaster) 3개는 특별 제작되었으며, 잠든 유니크론을 깨우기 위한 힘을 지니고 있다. 유니크론은 양 군의 싸움을 부추기고, 최종적으로 양 군을 멸망시키기 위해 마이크론을 만들었다. 그러나 스러스트가 래드 일행을 이용하여 스타스크림을 아스트로 블래스터로 공격했을 때, 윌리가 무의식적으로 일으킨 힘에 의해 래드 일행은 마이크론이 자아를 깨닫기 전 시대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된다. 그곳에서 래드가 윌리에게 "우리가 기다리는 지구로 가는 거야"라고 말하자 윌리에게 자아가 싹트고, 다른 마이크론들도 자아를 가지게 되었다.
완구에서는 오토봇파와 디셉티콘파로 나뉘며, 각 3개 세트로 판매된다. 특별 색상의 익스 디멘션즈(Ex-Dimensions)도 존재한다.
'''주요 미니콘 팀'''
- 토미사카 아키라가 목소리 연기를 한 산악 자전거로 변형되는 윌리 / High Wire, 나카이 마사키가 목소리 연기를 한 스케이트보드로 변형되는 뱅크 / Grindor, 마에다 유키에가 목소리 연기를 한 주황색 스쿠터로 변형되는 아시 / Sureshock는 래드 일행의 파트너 마이크론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범블 / Perceptor가 된다.
- 마하 / Jetstorm(콩코드), 제터 / Runway(소닉 크루저), 샤틀러 / Sonar(우주 왕복선)는 에어 디펜스 미니콘 팀으로, 3대가 합체하여 스타 세이버 / Star Saber라는 강력한 검이 된다.
- 랜드 밀리터리 미니콘 팀은 봄 / Bonecrusher(자주포), 크랙 / Knock Out(곡사포), 샷 / Wreckage(장갑차)로 구성된 군용 차량들이다.
- 디스트럭션 미니콘 팀은 크래쉬 / Drillbit(드릴 전차), 더스터 / Dualor(대공 전차), 휠 / Buzzsaw(버킷 휠 굴착기)로 구성된 전투 차량들이다.
- 레이스 미니콘 팀은 스핀 / Downshift(프로토타입 카), 드리프트 / Dirt Boss(랠리카), 인디 / Mirage(인디카)로 구성된 레이스카들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코스모테크터 / Skyboom이라는 방패가 된다.
- 스페이스 미니콘 팀은 아폴로 / Skyblast(로켓), 무브 / Payload(로켓 수송차), 밀 / Astroscope(위성)로 구성된 우주 관련 차량들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아스트로 블래스터 / Requiem Blaster라는 강력한 총이 된다.
2. 3. 1. 주요 미니콘 팀
- 토미사카 아키라가 목소리 연기를 한 산악 자전거로 변형되는 윌리 / High Wire, 나카이 마사키가 목소리 연기를 한 스케이트보드로 변형되는 뱅크 / Grindor, 마에다 유키에가 목소리 연기를 한 주황색 스쿠터로 변형되는 아시 / Sureshock는 래드 일행의 파트너 마이크론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범블 / Perceptor가 된다.
- 마하 / Jetstorm(콩코드), 제터 / Runway(소닉 크루저), 샤틀러 / Sonar(우주 왕복선)는 에어 디펜스 미니콘 팀으로, 3대가 합체하여 스타 세이버 / Star Saber라는 강력한 검이 된다.
- 랜드 밀리터리 미니콘 팀은 봄 / Bonecrusher(자주포), 크랙 / Knock Out(곡사포), 샷 / Wreckage(장갑차)로 구성된 군용 차량들이다.
- 디스트럭션 미니콘 팀은 크래쉬 / Drillbit(드릴 전차), 더스터 / Dualor(대공 전차), 휠 / Buzzsaw(버킷 휠 굴착기)로 구성된 전투 차량들이다.
- 레이스 미니콘 팀은 스핀 / Downshift(프로토타입 카), 드리프트 / Dirt Boss(랠리카), 인디 / Mirage(인디카)로 구성된 레이스카들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코스모테크터 / Skyboom이라는 방패가 된다.
- 스페이스 미니콘 팀은 아폴로 / Skyblast(로켓), 무브 / Payload(로켓 수송차), 밀 / Astroscope(위성)로 구성된 우주 관련 차량들이다. 이 셋은 합체하여 아스트로 블래스터 / Requiem Blaster라는 강력한 총이 된다.
2. 4. 제3 세력
사이드웨이즈(더블페이스)는 오토바이로 변신하는 미스터리한 존재로, 유니크론의 에이전트이다. 처음에는 떠돌이로 사이버트론에 가입했지만, 핫 로드를 함정에 빠뜨려 스타 세이버를 강탈하고 데스트론에 가입했다. 이후 데스트론에서 활동하면서도 때로는 사이버트론을 돕고, 유니크론에게 상황을 보고했다. 신체 구조가 일반 트랜스포머와는 달리, 스노우 노이즈처럼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타 세이버로 양단되어도 죽지 않고, 컴퓨터 해킹이나 기계 조작 능력도 보였다. 최종 국면에서는 유니크론의 의지 세포가 되어 콘보이와 메가트론과 대치했으나, 결국 패배했다. 그의 본체는 마이크론 미러이며, 미러는 브라이트와 섀도우로 분리되어 각각 사이버트론 헤드와 데스트론 헤드가 된다.유니크론은 행성 크기의 거대 트랜스포머로, 모든 생명체를 파괴하려는 존재이다. 모든 트랜스포머의 증오와 투쟁심을 활력원으로 삼고 있으며, 싸움을 격화시키기 위해 자신의 세포에서 마이크론들을 만들어냈다. 주요 무기는 발에서 발사하는 플래닛 스트라이크 미사일과 가슴에서 쏘는 파동포인 카오스 브링거이다. 일반적인 공격은 통하지 않는 견고한 장갑을 가지고 있지만, 목의 장갑은 주변에 비해 얇고 내부 공격에 약하다. 마지막에는 콘보이와 메가트론에 의해 저지되지만, 완전히 멸망하지 않고 메가트론을 삼켜 어딘가로 사라졌다.
네메시스 프라임(스커지)은 옵티머스 프라임과 유사한 외형을 가진 파괴적인 존재로, 검은 콘보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지성이 느껴지지 않는 흉폭한 야수와 같은 전사이며, 네 발로 걷는다. 콘보이와 같은 능력 외에 재생 능력과 암흑의 검 다크 세이버를 가지고 있다. 핫 로드, 래칫, 메가트론 등을 빈사 상태로 몰아넣을 정도로 강력하지만, 마그나 콘보이와 메가트론의 연계 공격으로 쓰러진다.
버그는 유니크론 체내 및 체표를 경비하는 다수의 마이크론으로, 소형 위성으로 변형한다. 하급 트랜스포머를 일격에 쓰러뜨릴 수 있는 공격력을 가졌지만, 방어력은 낮다.
3. 줄거리
사이버트론 행성에서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미니콘이라 불리는 작고 강력한 변신 로봇 종족을 두고 전쟁을 벌였다.[6][7] 미니콘들은 전쟁을 피해 오토봇의 도움으로 사이버트론을 탈출했지만, 디셉티콘의 공격으로 우주선이 손상되어 태양계의 달에 추락한다. 우주선의 일부는 달에, 다른 부분은 지구에 떨어졌으며, 미니콘들은 정지 패널에 갇힌 채 전 세계에 흩어졌다.[6][7]
400만 년 후, 지구의 소년 래드와 카를로스는 하이 데저트 지역의 동굴에서 미니콘 우주선의 잔해를 발견하고 작동시켜, 오토봇과 디셉티콘에게 미니콘의 존재를 알린다. 메가트론과 옵티머스 프라임의 부대는 지구로 이동하고, 래드와 친구들은 오토봇, 그리고 스트리트 액션 미니콘 팀과 친구가 된다. 트랜스포머들은 지구 차량 형태로 변신하여 흩어진 미니콘을 찾기 위한 추격전을 시작한다.
이후, 여러 전투를 통해 트랜스포머들은 파트너 미니콘을 얻고, 스모크스크린이 오토봇에 합류한다. 가라앉은 도시의 홀로그램 기록은 강력한 미니콘 무기인 스타 세이버 검의 존재를 알리고, 디셉티콘은 오토봇 기지를 침략하지만 오토봇이 검을 차지한다.
스캐벤저라는 용병이 지구에 와 디셉티콘을 돕고, 스타 세이버를 무력화할 스카이붐 실드를 찾게 한다. 사이드웨이즈는 핫 샷을 배신하고 스타 세이버를 디셉티콘에게 넘긴다. 스캐빈저는 오토봇으로 복귀하고, 블러가 사이버트론에서 온다. 디셉티콘이 스카이붐 실드를 완성하자 전투가 벌어지고, 오토봇이 실드를 차지한다. 두 무기는 에너지 플레어를 발산, 스러스트와 타이달 웨이브를 지구로 불러들인다.
사이드웨이즈는 디셉티콘에 문제를 일으키고, 미니콘을 포획하려다 상위 존재를 섬김을 드러낸다. 스러스트가 도착하나, 제트파이어의 등장으로 계획이 무산된다. 사이드웨이즈의 속임수가 발각되어 메가트론에게 파괴되지만, 그는 탈출한다. 타이달 웨이브가 지구에 도착하고, 래드와 친구들은 세 번째 미니콘 무기인 레퀴엠 블래스터의 존재를 알게 된다. 스카이블래스트는 다른 두 미니콘을 소환, 블래스터를 형성하여 옵티머스가 타이달 웨이브를 물리치게 한다.
양측은 사이드스와이프와 휠잭을 영입한다. 스러스트는 레퀴엠 블래스터를 훔치고, 레드 얼럿은 호이스트로 재구성된다. 스타스크림은 앨릭시스와 우정을 쌓고 오토봇을 돕지만, 스러스트와 사이드웨이즈의 음모를 보고 디셉티콘에 이중 스파이로 재합류한다. 디셉티콘은 세 미니콘 무기를 결합, 히드라 캐논을 만들어 지구를 파괴하려 한다. 옵티머스는 매트릭스로 폭발을 흡수하고 희생한다.
디셉티콘은 우주선으로 사이버트론으로 향하고, 오토봇은 ''액설론''을 건조해 쫓는다. 미니콘들은 힘을 발휘, 옵티머스를 부활시킨다. 블랙홀은 오토봇과 디셉티콘을 황량한 세계로 보내고, 네메시스 프라임에게 파괴된다. 메가트론은 갈바트론으로 개명한다. 디셉티콘은 사이버트론을 전복시키고, 핫 샷은 스러스트의 배신을 밝힌다. 스러스트는 스카이붐 실드와 레퀴엠 블래스터를 사이드웨이즈에게 전달, 유니크론을 깨운다.
래드와 친구들은 미니콘의 발전에 참여했고, 미니콘은 유니크론의 세포임을 알게 된다. 래드는 하이 와이어를 설득, 미니콘이 사이버트론을 떠나게 한다.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의 위협을 믿지 않고, 스타스크림은 결투에서 희생하여 위협을 증명한다. 사이드웨이즈는 스타 세이버를 훔쳐 유니크론을 깨우고,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연합하여 공격한다. 갈바트론은 스러스트를 비난하고, 유니크론이 사이버트론을 공격하는 동안 갈바트론과 옵티머스는 유니크론 내부로 들어간다. 사이드웨이즈는 미니콘을 조종하려 하지만, 래드가 미니콘을 해방시켜 유니크론을 약화시킨다. 갈바트론은 증오의 순환을 끝내기 위해 희생하고, 유니크론은 사라진다. 평화가 찾아오고, 옵티머스는 망명한다. 오토봇은 아이들을 지구로 보낸다.
== 스타 세이버와 스카이붐 실드 ==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강력한 미니콘 무기인 스타 세이버와 스카이붐 실드를 차지하기 위해 격돌한다.[6][7] 이 과정에서 스캐빈저, 블러, 사이드웨이즈 등 새로운 트랜스포머들이 등장한다. 스캐빈저는 처음에 디셉티콘 편에 서는 듯했지만, 비밀리에 오토봇임을 밝히고 동료들에게 다시 합류한다.[6][7] 블러는 사이버트론에서 온 오토봇으로, 스캐빈저의 합류 직후 오토봇에 합류한다.
사이드웨이즈는 오토봇으로 위장하여 핫 샷을 배신하고 스타 세이버를 디셉티콘에게 넘겨주면서 디셉티콘에 대한 충성을 드러낸다.[6][7] 디셉티콘이 스카이붐 실드를 완성하면서 오토봇과의 전투가 벌어지고, 결국 오토봇이 스카이붐 실드를 차지하게 된다. 두 무기(스타 세이버와 스카이붐 실드)는 강력한 에너지 플레어를 발산하여 스러스트와 타이달 웨이브를 지구로 불러들인다.[6][7]
== 레퀴엠 블래스터와 유니크론의 위협 ==
사이드웨이즈는 모순을 이용하여 디셉티콘 진영에 몰래 문제를 일으켰다.[6] 오토봇의 인간 동맹을 사이버 공간으로 유인하여 미니콘을 포획하려는 시도를 하면서, 사이드웨이즈는 신비한 상위 존재를 섬기고 있음을 드러낸다.[6] 한편, 래드, 카를로스, 앨릭시스는 사이드웨이즈에 의해 세 번째 미니콘 무기인 레퀴엠 블래스터의 존재를 알게 되고, 그 구성품 중 하나인 스카이블래스트를 찾는다.[6] 스카이블래스트는 기묘한 화음을 노래하여 다른 두 미니콘을 정지 상태에서 소환하고, 그들은 블래스터를 형성하여 옵티머스 프라임이 타이달 웨이브를 물리칠 수 있게 한다.[6]
결국 사이드웨이즈의 속임수가 발각되고 메가트론은 스타 세이버로 그를 파괴하지만, 사이드웨이즈는 몸을 재구성하여 탈출한다.[6] 이후, 스타스크림은 스러스트가 사이드웨이즈와 음모를 꾸미는 것을 몰래 보고, 스카이붐 실드와 스타 세이버를 훔쳐 디셉티콘에 이중 스파이로 재합류하기로 어려운 결정을 내린다.[6]
이제 세 개의 미니콘 무기를 모두 소유한 디셉티콘은 모든 힘을 결합하여 궤도에서 지구를 파괴하려는 무기인 히드라 캐논을 만든다.[6] 옵티머스 프라임은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폭발을 흡수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을 희생한다.[6]
스러스트는 스카이붐 실드와 레퀴엠 블래스터를 가지고 탈출하여 사이드웨이즈에게 전달하고, 사이드웨이즈는 그것들을 사용하여 미니콘이 예언한 다가오는 적이자 끔찍한 유니크론을 깨운다.[6]
래드와 그의 친구들은 시간 속으로 떠돌아다니면서 미니콘의 발전에 참여했음을 알게 되는데, 이는 유니크론의 세포로 밝혀진다.[6] 래드는 하이 와이어를 설득하여 결국 미니콘이 사이버트론을 떠나 모든 사건이 일어나도록 한다.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의 위협을 믿지 않고 스타스크림은 그를 결투로 강요하는데, 스타스크림은 갈바트론에게 유니크론의 위협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패배하여 자신을 희생한다.[6] 사이드웨이즈는 스타 세이버를 훔쳐 유니크론을 완전히 깨우고,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사이버트론의 달로 위장한 거대한 트랜스포머를 공격하기 위해 하나의 함대로 통합한다.[6] 전투 중에 갈바트론은 스러스트의 배신에 맞서 그를 비난하고, 스러스트가 실수로 유니크론의 어깨에 깔려 죽게 한 후 그를 버린다.[6]
유니크론이 사이버트론을 공격하는 동안 갈바트론과 옵티머스 프라임은 유니크론의 몸으로 들어가고, 사이드웨이즈는 유니크론에 의해 미니콘을 자신의 주인 통제하에 다시 가져오기 위한 사절로 만들어졌음을 드러내지만, 래드가 그들의 마음을 다시 깨우고 미니콘 무기가 스스로 해방되어 유니크론의 힘을 약화시킨다.[6] 사이드웨이즈가 제거되고 유니크론의 위협이 사라진 듯하자 갈바트론은 옵티머스 프라임에게 마지막 전투를 제안하지만, 그들의 갈등에서 방출된 에너지가 유니크론을 다시 활성화시킨다.[6] 증오를 계속하는 자신의 실수를 깨달은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이 존재하게 하는 증오의 순환을 끝내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기로 결정한다.[6] 갈바트론의 죽음과 함께 유니크론은 신비하게 사라지고 평화가 사이버트론으로 돌아온다.[6]
== 유니크론과의 최종 결전 ==
오토봇과 디셉티콘 연합군은 사이버트론의 달로 위장한 거대한 트랜스포머 유니크론을 공격한다.[6][7] 유니크론은 사이버트론을 공격하고, 갈바트론과 옵티머스 프라임은 유니크론의 몸 속으로 들어간다.[6] 사이드웨이즈는 유니크론에 의해 미니콘을 통제하기 위한 사절로 만들어졌지만, 래드가 미니콘들의 마음을 다시 깨우고 미니콘 무기가 스스로 해방되어 유니크론의 힘을 약화시킨다.[6]
전투 중, 갈바트론은 스러스트의 배신을 비난하며 그를 버리고, 스러스트는 유니크론의 어깨에 깔려 죽는다.[6] 사이드웨이즈가 제거되고 유니크론의 위협이 사라진 듯 했으나, 갈바트론이 옵티머스 프라임에게 마지막 전투를 제안하면서 그들의 갈등에서 방출된 에너지로 유니크론이 다시 활성화된다.[6]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을 존재하게 하는 증오의 순환을 끝내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기로 결정하고, 그의 죽음과 함께 유니크론은 신비하게 사라진다.[6]
3. 1. 미니콘을 둘러싼 전투
사이버트론 행성에서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미니콘이라 불리는 작고 강력한 변신 로봇 종족을 두고 전쟁을 벌였다.[6][7] 미니콘들은 전쟁을 피해 오토봇의 도움으로 사이버트론을 탈출했지만, 디셉티콘의 공격으로 우주선이 손상되어 태양계의 달에 추락한다. 우주선의 일부는 달에, 다른 부분은 지구에 떨어졌으며, 미니콘들은 정지 패널에 갇힌 채 전 세계에 흩어졌다.[6][7]400만 년 후, 지구의 소년 래드와 카를로스는 하이 데저트 지역의 동굴에서 미니콘 우주선의 잔해를 발견하고 작동시켜, 오토봇과 디셉티콘에게 미니콘의 존재를 알린다. 메가트론과 옵티머스 프라임의 부대는 지구로 이동하고, 래드와 친구들은 오토봇, 그리고 스트리트 액션 미니콘 팀과 친구가 된다. 트랜스포머들은 지구 차량 형태로 변신하여 흩어진 미니콘을 찾기 위한 추격전을 시작한다.
이후, 여러 전투를 통해 트랜스포머들은 파트너 미니콘을 얻고, 스모크스크린이 오토봇에 합류한다. 가라앉은 도시의 홀로그램 기록은 강력한 미니콘 무기인 스타 세이버 검의 존재를 알리고, 디셉티콘은 오토봇 기지를 침략하지만 오토봇이 검을 차지한다.
스캐벤저라는 용병이 지구에 와 디셉티콘을 돕고, 스타 세이버를 무력화할 스카이붐 실드를 찾게 한다. 사이드웨이즈는 핫 샷을 배신하고 스타 세이버를 디셉티콘에게 넘긴다. 스캐빈저는 오토봇으로 복귀하고, 블러가 사이버트론에서 온다. 디셉티콘이 스카이붐 실드를 완성하자 전투가 벌어지고, 오토봇이 실드를 차지한다. 두 무기는 에너지 플레어를 발산, 스러스트와 타이달 웨이브를 지구로 불러들인다.
사이드웨이즈는 디셉티콘에 문제를 일으키고, 미니콘을 포획하려다 상위 존재를 섬김을 드러낸다. 스러스트가 도착하나, 제트파이어의 등장으로 계획이 무산된다. 사이드웨이즈의 속임수가 발각되어 메가트론에게 파괴되지만, 그는 탈출한다. 타이달 웨이브가 지구에 도착하고, 래드와 친구들은 세 번째 미니콘 무기인 레퀴엠 블래스터의 존재를 알게 된다. 스카이블래스트는 다른 두 미니콘을 소환, 블래스터를 형성하여 옵티머스가 타이달 웨이브를 물리치게 한다.
양측은 사이드스와이프와 휠잭을 영입한다. 스러스트는 레퀴엠 블래스터를 훔치고, 레드 얼럿은 호이스트로 재구성된다. 스타스크림은 앨릭시스와 우정을 쌓고 오토봇을 돕지만, 스러스트와 사이드웨이즈의 음모를 보고 디셉티콘에 이중 스파이로 재합류한다. 디셉티콘은 세 미니콘 무기를 결합, 히드라 캐논을 만들어 지구를 파괴하려 한다. 옵티머스는 매트릭스로 폭발을 흡수하고 희생한다.
디셉티콘은 우주선으로 사이버트론으로 향하고, 오토봇은 ''액설론''을 건조해 쫓는다. 미니콘들은 힘을 발휘, 옵티머스를 부활시킨다. 블랙홀은 오토봇과 디셉티콘을 황량한 세계로 보내고, 네메시스 프라임에게 파괴된다. 메가트론은 갈바트론으로 개명한다. 디셉티콘은 사이버트론을 전복시키고, 핫 샷은 스러스트의 배신을 밝힌다. 스러스트는 스카이붐 실드와 레퀴엠 블래스터를 사이드웨이즈에게 전달, 유니크론을 깨운다.
래드와 친구들은 미니콘의 발전에 참여했고, 미니콘은 유니크론의 세포임을 알게 된다. 래드는 하이 와이어를 설득, 미니콘이 사이버트론을 떠나게 한다.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의 위협을 믿지 않고, 스타스크림은 결투에서 희생하여 위협을 증명한다. 사이드웨이즈는 스타 세이버를 훔쳐 유니크론을 깨우고,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연합하여 공격한다. 갈바트론은 스러스트를 비난하고, 유니크론이 사이버트론을 공격하는 동안 갈바트론과 옵티머스는 유니크론 내부로 들어간다. 사이드웨이즈는 미니콘을 조종하려 하지만, 래드가 미니콘을 해방시켜 유니크론을 약화시킨다. 갈바트론은 증오의 순환을 끝내기 위해 희생하고, 유니크론은 사라진다. 평화가 찾아오고, 옵티머스는 망명한다. 오토봇은 아이들을 지구로 보낸다.
3. 2. 스타 세이버와 스카이붐 실드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강력한 미니콘 무기인 스타 세이버와 스카이붐 실드를 차지하기 위해 격돌한다.[6][7] 이 과정에서 스캐빈저, 블러, 사이드웨이즈 등 새로운 트랜스포머들이 등장한다. 스캐빈저는 처음에 디셉티콘 편에 서는 듯했지만, 비밀리에 오토봇임을 밝히고 동료들에게 다시 합류한다.[6][7] 블러는 사이버트론에서 온 오토봇으로, 스캐빈저의 합류 직후 오토봇에 합류한다.사이드웨이즈는 오토봇으로 위장하여 핫 샷을 배신하고 스타 세이버를 디셉티콘에게 넘겨주면서 디셉티콘에 대한 충성을 드러낸다.[6][7] 디셉티콘이 스카이붐 실드를 완성하면서 오토봇과의 전투가 벌어지고, 결국 오토봇이 스카이붐 실드를 차지하게 된다. 두 무기(스타 세이버와 스카이붐 실드)는 강력한 에너지 플레어를 발산하여 스러스트와 타이달 웨이브를 지구로 불러들인다.[6][7]
3. 3. 레퀴엠 블래스터와 유니크론의 위협
사이드웨이즈는 모순을 이용하여 디셉티콘 진영에 몰래 문제를 일으켰다.[6] 오토봇의 인간 동맹을 사이버 공간으로 유인하여 미니콘을 포획하려는 시도를 하면서, 사이드웨이즈는 신비한 상위 존재를 섬기고 있음을 드러낸다.[6] 한편, 래드, 카를로스, 앨릭시스는 사이드웨이즈에 의해 세 번째 미니콘 무기인 레퀴엠 블래스터의 존재를 알게 되고, 그 구성품 중 하나인 스카이블래스트를 찾는다.[6] 스카이블래스트는 기묘한 화음을 노래하여 다른 두 미니콘을 정지 상태에서 소환하고, 그들은 블래스터를 형성하여 옵티머스 프라임이 타이달 웨이브를 물리칠 수 있게 한다.[6]결국 사이드웨이즈의 속임수가 발각되고 메가트론은 스타 세이버로 그를 파괴하지만, 사이드웨이즈는 몸을 재구성하여 탈출한다.[6] 이후, 스타스크림은 스러스트가 사이드웨이즈와 음모를 꾸미는 것을 몰래 보고, 스카이붐 실드와 스타 세이버를 훔쳐 디셉티콘에 이중 스파이로 재합류하기로 어려운 결정을 내린다.[6]
이제 세 개의 미니콘 무기를 모두 소유한 디셉티콘은 모든 힘을 결합하여 궤도에서 지구를 파괴하려는 무기인 히드라 캐논을 만든다.[6] 옵티머스는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폭발을 흡수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을 희생한다.[6]
스러스트는 스카이붐 실드와 레퀴엠 블래스터를 가지고 탈출하여 사이드웨이즈에게 전달하고, 사이드웨이즈는 그것들을 사용하여 미니콘이 예언한 다가오는 적이자 끔찍한 유니크론을 깨운다.[6]
래드와 그의 친구들은 시간 속으로 떠돌아다니면서 미니콘의 발전에 참여했음을 알게 되는데, 이는 유니크론의 세포로 밝혀진다.[6] 래드는 하이 와이어를 설득하여 결국 미니콘이 사이버트론을 떠나 모든 사건이 일어나도록 한다.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의 위협을 믿지 않고 스타스크림은 그를 결투로 강요하는데, 스타스크림은 갈바트론에게 유니크론의 위협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패배하여 자신을 희생한다.[6] 사이드웨이즈는 스타 세이버를 훔쳐 유니크론을 완전히 깨우고,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사이버트론의 달로 위장한 거대한 트랜스포머를 공격하기 위해 하나의 함대로 통합한다.[6] 전투 중에 갈바트론은 스러스트의 배신에 맞서 그를 비난하고, 스러스트가 실수로 유니크론의 어깨에 깔려 죽게 한 후 그를 버린다.[6]
유니크론이 사이버트론을 공격하는 동안 갈바트론과 옵티머스는 유니크론의 몸으로 들어가고, 사이드웨이즈는 유니크론에 의해 미니콘을 자신의 주인 통제하에 다시 가져오기 위한 사절로 만들어졌음을 드러내지만, 래드가 그들의 마음을 다시 깨우고 미니콘 무기가 스스로 해방되어 유니크론의 힘을 약화시킨다.[6] 사이드웨이즈가 제거되고 유니크론의 위협이 사라진 듯하자 갈바트론은 옵티머스에게 마지막 전투를 제안하지만, 그들의 갈등에서 방출된 에너지가 유니크론을 다시 활성화시킨다.[6] 증오를 계속하는 자신의 실수를 깨달은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이 존재하게 하는 증오의 순환을 끝내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기로 결정한다.[6] 갈바트론의 죽음과 함께 유니크론은 신비하게 사라지고 평화가 사이버트론으로 돌아온다.[6]
3. 4. 유니크론과의 최종 결전
오토봇과 디셉티콘 연합군은 사이버트론의 달로 위장한 거대한 트랜스포머 유니크론을 공격한다.[6][7] 유니크론은 사이버트론을 공격하고, 갈바트론과 옵티머스 프라임은 유니크론의 몸 속으로 들어간다.[6] 사이드웨이즈는 유니크론에 의해 미니콘을 통제하기 위한 사절로 만들어졌지만, 래드가 미니콘들의 마음을 다시 깨우고 미니콘 무기가 스스로 해방되어 유니크론의 힘을 약화시킨다.[6]전투 중, 갈바트론은 스러스트의 배신을 비난하며 그를 버리고, 스러스트는 유니크론의 어깨에 깔려 죽는다.[6] 사이드웨이즈가 제거되고 유니크론의 위협이 사라진 듯 했으나, 갈바트론이 옵티머스에게 마지막 전투를 제안하면서 그들의 갈등에서 방출된 에너지로 유니크론이 다시 활성화된다.[6]
갈바트론은 유니크론을 존재하게 하는 증오의 순환을 끝내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기로 결정하고, 그의 죽음과 함께 유니크론은 신비하게 사라진다.[6]
4. 제작 및 방영
''트랜스포머: 아마다''는 일본에서 제작 및 집필되었으며, 미국의 창작적 기여를 받았다. 일본은 원래 이 시리즈를 G1 세계관으로 설정하려 했지만, 해즈브로는 이 아이디어를 폐기하고 시리즈의 원래 스토리 초안에 없었던 유니크론의 포함을 요구했다.
이 쇼는 원래 일본 방영보다 먼저 미국의 카툰 네트워크 투니(Toonami)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이는 네트워크가 설정한 빡빡한 제작 일정의 결과로, 시리즈가 조기에 제작되었다. 그 결과, ''아마다''는 미완성 애니메이션이 많았으며(완성된 일본 에피소드에서 보완될 예정), 성급하게 제작된 더빙은 여러 이름 오류를 포함했다. 예를 들어, 슈레쇼크가 여러 에피소드에서 반복적으로 "그라인더"로 불리고, 핫 쇼트가 "핫 로드"로 불리며, 옵티머스의 미니콘 파트너인 스파크플러그가 "리더-1"(메가트론의 미니콘과 동일한 이름)으로 불리고, 액션과 일치하지 않는 음역 및 무의미한 대사들이 포함되었다.
베테랑 ''트랜스포머'' 성우인 개리 채크와 데이비드 케이는 각각 옵티머스 프라임과 메가트론으로 이 시리즈의 영어 더빙에 출연했다. 채크는 이전에 ''비스트 워즈: 트랜스포머''와 ''비스트 머신즈: 트랜스포머''에서 동일한 캐릭터인 옵티머스 프라이멀의 목소리를 연기했으며, 케이는 동일한 쇼에서 다른 버전의 메가트론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아마다''가 일본에서 DVD로 출시되었을 때, 13개의 각 볼륨에는 4페이지 분량의 미니 만화와 독점 재도색된 미니콘 피겨가 포함되었다. '마이크론의 이야기: 린키지(Tales of the Microns: Linkage)'라는 제목의 만화는 이 재도색된 피겨들을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공백과 스토리 구멍을 메우는 독창적인 이야기로 다루었다.
- 기획 - we've
- 원안 - 이시카와 히로토, STEVE DRUCKER (연재지 - 『텔레비전 매거진』, 『텔레비군』)
- 시리즈 구성 - 모토히라 료
- 캐릭터 디자인 - 오모테지마지로
- 트랜스포머 & 메카 디자인 - 후쿠시마 히데키, 오구라 신야, 오가와 히로시, 무라타 고로, 야마다 타카히로
- 트랜스폼・애니메이터 - 아베 무네타카
- 미술 감독 - 사카모토 노부토
- 색채 설계 - 카토 요시타카
- 촬영 감독 - 엔도 야스히사
- CG 이펙트 - 히구치 테츠지
- 편집 - 타쿠마 준
- 음향 감독 - 이와나미 미와
- 음악 프로듀서 - 쿠마다 카즈오
- 음악 - 마츠오 하야토
- 음악 협력 - TV 도쿄 뮤직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산토 학, 미나미 키초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핫토리 레이지
- 프로듀서 - 구시마 토모코(TV 도쿄), 야마자키 릿시
- 감독 - 우에다 히데히토
- 애니메이션 제작 - 액터스
- 제작 - TV 도쿄, 일본 어드 시스템즈
- 제작 총지휘 - 스티브 드라커
- 프로듀서 - 제니퍼 트위너 매캐론, 로버트 윈스럽
- 음성 연출・각색 - 테리 클래슨
- 번역 - 캐서린 웨스트레이크, 케빈 매큐언
- 캐스팅・음향 제작 - 보이스박스 프로덕션
- 제작 - SD 엔터테인먼트
- 배급 - 파라마운트 홈 엔터테인먼트
- 제작 저작 - 하스브로
초 로봇 생명체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은 일본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먼저 방영되었다. 2002년 8월 23일 오후 4시에 카툰 네트워크 (해당 네트워크의 투니 블록을 통해)에서 90분 분량의 영화 스페셜로 첫 방영되었으며, 여기에는 "첫 만남", "변태", "베이스"라는 제목의 처음 세 에피소드가 포함되었다.[8] 첫 방영 이후, 8월 30일부터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30분에 새로운 에피소드가 방영되기 시작했다.[9]
일본 잡지 ''아니메쥬'' 12월호에서 이 애니메이션이 2003년 1월 10일 TV 도쿄에서 방영을 시작하며, 매주 금요일 오후 6시에 새로운 에피소드가 방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이 시리즈는 SBS 서울을 통해 대한민국에서도 방영되었다. 그 외에도 Tubi, Pluto TV, Amazon Prime Video, The Roku Channel 및 ''트랜스포머'' 유튜브 채널 (처음 15개 에피소드만)에서 온라인 스트리밍으로도 시청할 수 있다.[11][12][13][14][15]
국가 | 채널 |
---|---|
TV 도쿄, TVO, TVA, TVH, TVQ, TSC, BS-TV 도쿄 | |
카툰 네트워크, 카빌리온 | |
YTV | |
SBS 서울 | |
RTL II | |
폭스 키즈/제틱스 | |
폭스 키즈, 제틱스 | |
VT4, 폭스 키즈, 제틱스 | |
TVI, 카날 판다, 판다 빅스 | |
TV3, 카툰 네트워크 (동남아시아), TV2 (말레이어 더빙) | |
폭스 키즈, 레데 글로보 | |
카툰 네트워크, GMA 7, TV5 | |
카툰 네트워크, 네트워크 텐 (토스티드 TV에서 방영) | |
국가 | MBC 3 |
굴리 | |
카툰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키즈 | |
폭스 키즈 이탈리아, 제틱스 이탈리아, 수퍼 3, 누오바레테 |
지상파 네트워크 방송국의 방송 시간은 2003년 5월 중순 - 6월 초순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24][25]
방송국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
TV 도쿄(テレビ東京) | 2003년1월 10일 - 12월 26일 | 금요일 18:00 - 18:30 | |
TV 홋카이도(テレビ北海道) | |||
TV 아이치(テレビ愛知) | |||
TV 오사카(テレビ大阪) | |||
TV 세토우치(テレビせとうち) | |||
TVQ 규슈 방송(TVQ九州放送) | |||
아오모리 방송(青森放送) | 2003년 1월 13일[26] - | 월요일 15:50 - 16:20 | |
이와테 멘코이 TV(岩手めんこいテレビ) | 2003년 1월 20일[26] - | 월요일 16:54 - 17:24 | |
히가시니혼 방송(東日本放送) | 2003년 2월 2일[26] - | 일요일 6:30 - 7:00 | |
후쿠시마 중앙 TV(福島中央テレビ) | 화요일 16:00 - 16:27 | ||
TV 니가타(テレビ新潟放送網|テレビ新潟) | 월요일 16:29 - 16:58 | ||
TV 가나자와(テレビ金沢) | 화요일 15:55 - 16:25 | ||
TV 신슈(テレビ信州) | 금요일 16:20 - 16:50 | ||
TV 시즈오카(テレビ静岡) | 토요일 16:56 - 17:24 | ||
KBS 교토(京都放送|KBS京都) | 토요일 12:00 - 12:29 | ||
히로시마 홈 TV(広島ホームテレビ) | 월요일 15:50 - 16:20 | ||
에히메 아사히 TV(愛媛朝日テレビ) | 토요일 7:15 - 7:45 | ||
TV 나가사키(テレビ長崎) | 목요일 15:30 - 16:00 | ||
가고시마 요미우리 TV(鹿児島讀賣テレビ|鹿児島読売テレビ) | 월요일 16:25 - 16:55 | ||
오키나와 TV(沖縄テレビ) | 목요일 16:00 - 16:30 | ||
BS 재팬(BSジャパン) | 2003년4월 8일 - 2004년3월 30일 | 화요일 18:55 - 19:25 |
4. 1. 개발
''트랜스포머: 아마다''는 일본에서 제작 및 집필되었으며, 미국의 창작적 기여를 받았다. 일본은 원래 이 시리즈를 G1 세계관으로 설정하려 했지만, 이 아이디어는 해즈브로에 의해 폐기되었으며, 해즈브로는 또한 시리즈의 원래 스토리 초안에 없었던 유니크론의 포함을 요구했다.이 쇼는 원래 일본 방영보다 먼저 미국의 카툰 네트워크 투니(Toonami)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이는 네트워크가 설정한 빡빡한 제작 일정의 결과로, 이로 인해 시리즈가 조기에 제작되었다. 그 결과, ''아마다''는 미완성 애니메이션이 많았으며(완성된 일본 에피소드에서 보완될 예정), 성급하게 제작된 더빙은 여러 이름 오류를 포함했다. 예를 들어, 슈레쇼크가 여러 에피소드에서 반복적으로 "그라인더"로 불리고, 핫 쇼트가 "핫 로드"로 불리며, 옵티머스의 미니콘 파트너인 스파크플러그가 "리더-1"(메가트론의 미니콘과 동일한 이름)으로 불리고, 액션과 일치하지 않는 음역 및 무의미한 대사들이 포함되었다.
베테랑 ''트랜스포머'' 성우인 개리 채크와 데이비드 케이는 각각 옵티머스 프라임과 메가트론으로 이 시리즈의 영어 더빙에 출연했다. 채크는 이전에 ''비스트 워즈: 트랜스포머''와 ''비스트 머신즈: 트랜스포머''에서 동일한 캐릭터인 옵티머스 프라이멀의 목소리를 연기했으며, 케이는 동일한 쇼에서 다른 버전의 메가트론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아마다''가 일본에서 DVD로 출시되었을 때, 13개의 각 볼륨에는 4페이지 분량의 미니 만화와 독점 재도색된 미니콘 피겨가 포함되었다. '마이크론의 이야기: 린키지(Tales of the Microns: Linkage)'라는 제목의 만화는 이 재도색된 피겨들을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공백과 스토리 구멍을 메우는 독창적인 이야기로 다루었다.
- 기획 - we've
- 원안 - 이시카와 히로토, STEVE DRUCKER (연재지 - 『텔레비전 매거진』, 『텔레비군』)
- 시리즈 구성 - 모토히라 료
- 캐릭터 디자인 - 오모테지마지로
- 트랜스포머 & 메카 디자인 - 후쿠시마 히데키, 오구라 신야, 오가와 히로시, 무라타 고로, 야마다 타카히로
- 트랜스폼・애니메이터 - 아베 무네타카
- 미술 감독 - 사카모토 노부토
- 색채 설계 - 카토 요시타카
- 촬영 감독 - 엔도 야스히사
- CG 이펙트 - 히구치 테츠지
- 편집 - 타쿠마 준
- 음향 감독 - 이와나미 미와
- 음악 프로듀서 - 쿠마다 카즈오
- 음악 - 마츠오 하야토
- 음악 협력 - TV 도쿄 뮤직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산토 학, 미나미 키초
-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 핫토리 레이지
- 프로듀서 - 구시마 토모코(TV 도쿄), 야마자키 릿시
- 감독 - 우에다 히데히토
- 애니메이션 제작 - 액터스
- 제작 - TV 도쿄, 일본 어드 시스템즈
- 제작 총지휘 - 스티브 드라커
- 프로듀서 - 제니퍼 트위너 매캐론, 로버트 윈스럽
- 음성 연출・각색 - 테리 클래슨
- 번역 - 캐서린 웨스트레이크, 케빈 매큐언
- 캐스팅・음향 제작 - 보이스박스 프로덕션
- 제작 - SD 엔터테인먼트
- 배급 - 파라마운트 홈 엔터테인먼트
- 제작 저작 - 하스브로
4. 2. 방영
초 로봇 생명체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은 일본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먼저 방영되었다. 2002년 8월 23일 오후 4시에 카툰 네트워크 (해당 네트워크의 투니 블록을 통해)에서 90분 분량의 영화 스페셜로 첫 방영되었으며, 여기에는 "첫 만남", "변태", "베이스"라는 제목의 처음 세 에피소드가 포함되었다.[8] 첫 방영 이후, 8월 30일부터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30분에 새로운 에피소드가 방영되기 시작했다.[9]일본 잡지 ''아니메쥬'' 12월호에서 이 애니메이션이 2003년 1월 10일 TV 도쿄에서 방영을 시작하며, 매주 금요일 오후 6시에 새로운 에피소드가 방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이 시리즈는 SBS 서울을 통해 대한민국에서도 방영되었다. 그 외에도 Tubi, Pluto TV, Amazon Prime Video, The Roku Channel 및 ''트랜스포머'' 유튜브 채널 (처음 15개 에피소드만)에서 온라인 스트리밍으로도 시청할 수 있다.[11][12][13][14][15]
국가 | 채널 |
---|---|
TV 도쿄, TVO, TVA, TVH, TVQ, TSC, BS-TV 도쿄 | |
카툰 네트워크, 카빌리온 | |
YTV | |
SBS 서울 | |
RTL II | |
폭스 키즈/제틱스 | |
폭스 키즈, 제틱스 | |
VT4, 폭스 키즈, 제틱스 | |
TVI, 카날 판다, 판다 빅스 | |
TV3, 카툰 네트워크 (동남아시아), TV2 (말레이어 더빙) | |
폭스 키즈, 레데 글로보 | |
카툰 네트워크, GMA 7, TV5 | |
카툰 네트워크, 네트워크 텐 (토스티드 TV에서 방영) | |
국가 | MBC 3 |
굴리 | |
카툰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키즈 | |
폭스 키즈 이탈리아, 제틱스 이탈리아, 수퍼 3, 누오바레테 |
지상파 네트워크 방송국의 방송 시간은 2003년 5월 중순 - 6월 초순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24][25]
방송국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
TV 도쿄(テレビ東京) | 2003년1월 10일 - 12월 26일 | 금요일 18:00 - 18:30 | |
TV 홋카이도(テレビ北海道) | |||
TV 아이치(テレビ愛知) | |||
TV 오사카(テレビ大阪) | |||
TV 세토우치(テレビせとうち) | |||
TVQ 규슈 방송(TVQ九州放送) | |||
아오모리 방송(青森放送) | 2003년 1월 13일[26] - | 월요일 15:50 - 16:20 | |
이와테 멘코이 TV(岩手めんこいテレビ) | 2003년 1월 20일[26] - | 월요일 16:54 - 17:24 | |
히가시니혼 방송(東日本放送) | 2003년 2월 2일[26] - | 일요일 6:30 - 7:00 | |
후쿠시마 중앙 TV(福島中央テレビ) | 화요일 16:00 - 16:27 | ||
TV 니가타(テレビ新潟放送網|テレビ新潟) | 월요일 16:29 - 16:58 | ||
TV 가나자와(テレビ金沢) | 화요일 15:55 - 16:25 | ||
TV 신슈(テレビ信州) | 금요일 16:20 - 16:50 | ||
TV 시즈오카(テレビ静岡) | 토요일 16:56 - 17:24 | ||
KBS 교토(京都放送|KBS京都) | 토요일 12:00 - 12:29 | ||
히로시마 홈 TV(広島ホームテレビ) | 월요일 15:50 - 16:20 | ||
에히메 아사히 TV(愛媛朝日テレビ) | 토요일 7:15 - 7:45 | ||
TV 나가사키(テレビ長崎) | 목요일 15:30 - 16:00 | ||
가고시마 요미우리 TV(鹿児島讀賣テレビ|鹿児島読売テレビ) | 월요일 16:25 - 16:55 | ||
오키나와 TV(沖縄テレビ) | 목요일 16:00 - 16:30 | ||
BS 재팬(BSジャパン) | 2003년4월 8일 - 2004년3월 30일 | 화요일 18:55 - 19:25 |
5. 관련 미디어
5. 1. 비디오 게임
아타리에서 2004년 5월 11일 북미, 2004년 5월 7일 유럽에서 PlayStation 2로 출시된 비디오 게임은 ''아마다''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다.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옵티머스 프라임, 핫 샷, 레드 얼럿 3명의 오토봇을 조종한다. 일반적인 스토리는 TV 쇼와 같이 미니콘을 찾아 수집하고 메가트론과 그의 디셉티콘에 맞서 싸우는 것이다.플레이어는 아마존 정글, 남극 대륙과 같은 다양한 지구 환경을 여행하면서 메가트론의 "디셉티클론" 군대와 싸우고, 미니콘을 찾아 게임을 진행하며 다양한 능력을 얻는다. 또한 ''아마다'' 쇼에 등장하는 스타스크림, 사이클로너스, 타이달 웨이브와 같은 디셉티콘들과도 싸운다. 줄거리는 마지막에 유니크론과의 최종 전투까지 아마다와 유사하다. 쇼에 출연했던 개리 찰크(옵티머스 프라임 역), 데이비드 케이(메가트론 역) 등의 성우들이 게임에 참여했다. ''트랜스포머: 더 무비''에 대한 언급도 있다. 이 게임은 ESRB 등급 시스템에서 T 등급을 받았다.
5. 2. 만화
이치카와 히로후미 작의 본 작품의 외전 코믹스인 THE TRANSFORMERS LEGENDS OF THE MICRONS "LINKAGE"는 DVD 초회 생산분에 부속되었다. 총 13권, 45페이지의 풀 컬러 코믹스로, 외전이지만 애니메이션 본편과 연동되어 있다. 싸움을 싫어하는 마이크론이 데스트론 측에 붙게 되는 이유, 디바스타가 더트를 데리고 다녔던 이유 등 본편의 내용을 보충하고 있다. 마이크론 주체로 스토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그들의 대화도 번역되어 있으며, 인간 측 주인공은 지구인 여성 스테라 홀리다. 부속 코믹스이지만, 내용이 풍부하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며, 초회 생산분에 부속되는 마이크론들은 모두 스토리에 등장하고 있다.6. 대한민국에서의 방영 및 영향
대한민국에서는 2003년 SBS을 통해 '트랜스포머: 아마다'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당시 어린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옵티머스 프라임, 메가트론, 스타스크림 등의 주요 캐릭터들과 미니콘을 활용한 변신 및 합체 요소는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대한민국에서 '트랜스포머: 아마다'의 방영과 함께, 관련 완구 제품들도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다양한 트랜스포머 캐릭터들과 미니콘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조합을 만들 수 있는 완구들은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발매된 완구는 사운드 기믹이나 무기 전개 기믹 등을 다용하는 한편, 트랜스포머 카 로봇에 비해 변형 기구가 간략화되어 있으며, 대형 상품일수록 가동 범위가 좁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전작까지의 풀 액션 노선이 어린이용 완구로서는 너무 복잡해졌다는 시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차세대 팬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어린 사용자들을 배려하여 견고함, 세우기 쉬움, 변형 놀이의 용이성을 중시한 결과라고 한다. 이는 어려운 변형 기구를 갖춘 트랜스포머 바이널텍과 차별화되는 형태가 되었다.
6. 1. SBS 방영
대한민국에서는 2003년 SBS을 통해 '트랜스포머: 아마다'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당시 어린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옵티머스 프라임, 메가트론, 스타스크림 등의 주요 캐릭터들과 미니콘을 활용한 변신 및 합체 요소는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6. 2. 완구 판매 및 인기
대한민국에서 '트랜스포머: 아마다'의 방영과 함께, 관련 완구 제품들도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다양한 트랜스포머 캐릭터들과 미니콘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조합을 만들 수 있는 완구들은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발매된 완구는 사운드 기믹이나 무기 전개 기믹 등을 다용하는 한편, 트랜스포머 카 로봇에 비해 변형 기구가 간략화되어 있으며, 대형 상품일수록 가동 범위가 좁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전작까지의 풀 액션 노선이 어린이용 완구로서는 너무 복잡해졌다는 시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차세대 팬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어린 사용자들을 배려하여 견고함, 세우기 쉬움, 변형 놀이의 용이성을 중시한 결과라고 한다. 이는 어려운 변형 기구를 갖춘 트랜스포머 바이널텍과 차별화되는 형태가 되었다.6. 3. 더빙판 논란
6. 4. 사회문화적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Entertainment Rights Secure Rights to Transformers Armada
http://www.entertain[...]
[2]
웹사이트
Sky One picks up Transformers Armada
https://www.broadcas[...]
[3]
서적
Television Cartoon Shows: An Illustrated Encyclopedia, 1949 Through 2003
McFarland & Co
2005
[4]
뉴스
The History of Transformers on TV
http://uk.tv.ign.com[...]
2010-08-14
[5]
웹사이트
Entertainment Rights Secure Rights to Transformers Armada
http://www.entertain[...]
[6]
뉴스
Transformers Armada: Season 1, Part 1
http://www.dvdtalk.c[...]
2010-08-15
[7]
뉴스
Transformers Armada: Season 1, Part 2
http://www.dvdtalk.c[...]
2010-08-15
[8]
뉴스
New G-Gundam Date
https://www.animenew[...]
2018-02-03
[9]
웹사이트
Info on "Transformers: Armada," "G-Gundam," and "He-Man" Premieres
https://web.archive.[...]
ToonZone
2018-02-03
[10]
뉴스
New Anime in Japan
https://www.animenew[...]
2018-02-03
[11]
웹사이트
Watch Transformers Armada
https://tubitv.com/s[...]
2024-07-28
[12]
웹사이트
Watch Transformers Armada
https://www.amazon.c[...]
2024-07-28
[13]
웹사이트
Transformers: Armada season 1
https://pluto.tv/us/[...]
2024-07-28
[14]
웹사이트
Transformers Armada Season 1 Episodes Streaming Online for Free
https://therokuchann[...]
2024-07-28
[15]
Youtube
Transformers Armada {{!}} FULL EPISODES
https://www.youtube.[...]
2024-08-21
[16]
웹사이트
Entertainment Rights Secure Rights to Transformers Armada
http://www.entertain[...]
[17]
웹사이트
Entertainment Rights Signs Major North American Video and DVD Distribution Agreement
http://www.entertain[...]
[18]
웹사이트
Shout! Factory and Hasbro Studios Partner for Animated Series
http://licensingbook[...]
The Licensing Book
2018-02-03
[19]
웹사이트
Sky One picks up Transformers Armada
https://www.broadcas[...]
[20]
웹사이트
幸ヒサシインタビュー
https://web.archive.[...]
タカラ (玩具メーカー)
2013-12-09
[21]
웹사이트
アニメ ラインナップ
https://tf.takaratom[...]
タカラトミー
2017-09-05
[22]
문서
Transformers: Universe(2008) Vector Prime with Mini-Con Safeguard!のパッケージの記載など。
[23]
웹사이트
超ロボット生命体トランスフォーマーマイクロン伝説 新主題歌 {{!}} ディスコグラフィ {{!}} サイキックラバー {{!}} 日本コロムビア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s://columbia.jp/[...]
2020-09-30
[24]
간행물
TV STATION NETWORK
学研ホールディングス
[25]
웹사이트
超ロボット生命体 トランスフォーマー マイクロン伝説
https://web.archive.[...]
2023-05-19
[26]
문서
『[[アニメディア]]』2003年2月号『TV STATION NETWORK』135頁。
[27]
문서
생활
2003
[28]
문서
생활
2003
[29]
문서
생활
2003
[30]
문서
생활
2003
[31]
문서
생활
2003
[32]
문서
생활
2003
[33]
간행물
トランスフォーマー
小学館
2003-09-01
[34]
간행물
トランスフォーマー
講談社
2003-09-01
[35]
문서
슈퍼전사파일
2003
[36]
서적
[37]
간행물
トランスフォーマー
小学館
2004-01-01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Television Cartoon Shows: An Illustrated Encyclopedia, 1949 Through 2003
McFarland & Co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